상하수도·주차장 등 '지하공간 통합지도' 만든다
(세종=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상·하수도관 위치나 지하주차장 구조 등 지하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제공하는 '지하공간통합지도'(통합지도)에 대한 공청회가 열린다.
국토교통부는 '통합지도 구축 계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23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어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 관계자, 관련업체와 연구소 소속 전문가 등 약 400명의 의견을 들을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또 통합지도와 지하정보 통합체계 구축, 지하정보 관련 법제도 정비, 지하공간 활용 지원센터 운영 등 앞으로 추진될 세부 과제들도 소개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12월~올해 4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연구용역을 맡겨 이번 계획안을 마련했다. 서울 송파구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적인 통합지도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도 했다.
이는 가스관 등 지하 시설물과 지하철·지하상가 등 지하 구조물, 관정·지질 등 지반에 관한 자료 등 '지하 정보'를 지자체 등이 개별적으로 구축, 관리해 이를 통합할 필요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전국에서 지반 침하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정부가 관계 부처·기관·전문가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지반침하 예방대책'을 내놓았으나 지하정보가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어 원인분석이나 사전대책 수립에 한계가 있었다.
국토부는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통합지도 구축 계획을 확정하고 구축물량, 도심지비율 등을 고려해 구축범위를 단계적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또 통합지도 시범구축을 올해 말까지 마친 뒤 특별시와 광역시의 통합지도 구축을 2017년까지 완료하고 다른 시급 지자체에 대해서는 2019년까지 구축을 마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통합지도 구축하면 지하공간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반침하 등 안전사고에 대응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자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jylee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