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6일 부분일식[연합뉴스 자료사진]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26일 낮 올해 마지막 부분일식 현상이 일어난다.
23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26일 오후 2시 12분(서울지역 기준) 부터 달이 해를 가리는 부분일식이 일어나기 시작해 오후 3시 15분 최대 면적을 가리게 된다.
이때 일식 면적은 서울 기준 태양 면적의 13.8%다.
이어 2시간 만인 오후 4시 11분 달이 해와 멀어지면서 일식이 끝난다.
2019년 12월 26일 부분일식 진행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도에서 해가 가장 많이 모습을 감춘 현상(일식 면적 19.9%)을 관측할 수 있으며 북측으로 올라갈수록 가려지는 비율이 작아진다.
이날 아프리카 서쪽 끝, 중동,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달이 태양의 가장자리만 남기고 가리면서 가장자리가 금반지처럼 보이는 '금환일식'이 일어난다.
금환일식[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것이 국내에서는 부분일식으로 보인다고 천문연은 설명했다.
이서구 천문연 대국민홍보팀장은 "일식 관측을 위해 태양을 오랜 시간 맨눈으로 보면 눈이 상할 위험이 있다"며 "특수 필터를 사용한 망원경이나 여러 겹의 짙은 색 셀로판지로 관측해 달라"고 당부했다.
국내에서 볼 수 있는 다음 부분일식은 내년 6월 21일에 있다.
jyou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9/12/23 09:54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