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기상청GO
청와대/국회 | 08-11 10:34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하천홍수 및 도심침수 관련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10일 집중호우 피해와 관련, “희생자의 명복을 빌며 불편을 겪은 국민께 정부를 대표해 죄송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이번 사태에 대해 직접 사과한 것은 처음으로, 수해 대응에 만전을 기하는 것은 물론 향후에도 국민 눈높이에 맞는 국정 운영에 나서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하천홍수 및 도심침수 관련 대책회의’에서 “집중호우로 고립돼서 소중한 생명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의 사과 표명에 대해 “피해가 크고 국민이 불편을 겪는 부분도 많으니 그에 대해 미안하다는 마음과 함께 적극 대처하겠다는 말씀을 전한 것”이라며 “오늘 피해 점검 회의를 추가로 주재하게 된 것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향후 이런 기상이변이 빈발할 것으로 보고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 같다”고도 강조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기후 변화를 넘어 기후 위기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보고, 국가 재난 대책도 그에 부합하게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보인 것이다.
윤 대통령은 전날 서울 신림동 침수 사망사고 현장을 방문한 일을 언급하며 “저지대 침수가 일어나면 지하 주택에 사는 분들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는 불 보듯 뻔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 하천과 수계 관리 시스템이 있기는 하지만,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해 국가의 모든 물길에 대한 수위를 늘 모니터하고 시뮬레이션해서 즉각 경고 체계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관계 부처와 지자체가 국가·지방하천 본류와 지류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물길에 대한 ‘홍수 위해 경고시스템’을 구축해 국민 인명과 재산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인공지능(AI) 홍수 예보 등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물 재해 예보·대응 체계를 구현하겠다는 국정과제 이행을 거듭 약속했다. 또 환경부와 서울시는 상습침수구역에 대한 대책으로 지하 저류조와 터널의 건설 방안을 보고했다.
윤 대통령은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명칭을 행정안전복지센터로 바꾸고, 안전과 복지를 동시에 추구하는 업무를 맡아 달라고 당부하는 등 각 분야를 망라한 다양한 대응 방안을 강구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집중호우 피해와 관련, 정부서울청사에서 ‘폭우피해 상황 점검회의’와 ‘하천홍수·도심침수 관련 대책회의’를 잇따라 주재했다. 윤 대통령은 당초 이날 오전 10시 대통령실 청사에서 침수 대책 회의를 주재할 계획이었으나, 일정을 바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설치된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로 직행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주재할 예정이었던 ‘폭우피해 상황 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하겠다고 결정한 데 따른 것이다. 윤 대통령은 또 서울 동작구 아파트 옹벽 붕괴현장을 직접 찾아 주민들의 2차 피해 방지를 당부하는 등 이번 사안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부·여당은 이날 수해대책 점검 긴급 당정협의회를 열어 수해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 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전국적으로 배수펌프를 합동 점검할 수 있는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차후 재해 상황에도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박형수 원내대변인은 당정협의회 후 브리핑에서 “복구계획 수립 전이라도 기재부에선 긴급복구수요에 대해 긴급 지원하고, 또 요건에 맞는다면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동수 기자
상호: 영남매일신문(주) | 사업자등록번호: 506-81-85807 | 대표: 강호성 | 신문등록번호 : 부산 가00021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부산, 아00272
전화: 051-867-3909 | 팩스: 051-861-3463 | 주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111, 1701호 (연산동, 위드타워)
copyright ⓒ 2015 newsyn.co.kr All right reserved. | web@newsyn.co.kr